728x90
반응형

정렬 2

[코딩테스트] 정렬 - H-Index (level 2)

2021/10/19(화) H-Index문제인데 처음에 문제가 이해가 안가서 대체 뭐지? 구현은 쉬울꺼같은데 문제가 이해 안되네..하고 질문하기에서 문제 추가설명을 보니 쉽게 풀 수 있었다 H-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어느 과학자의 H-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. 위키백과1에 따르면, H-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.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,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-Index입니다.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이 과학자의 H-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..

[코딩테스트] 정렬 - k번째 수

2021/08/31(화) 오늘 새벽에 간단하게 정렬 코테를 하는데 졸려서 계속 정신없이 하다보니 간단한건데 오류나서 당황했지만 커피먹고 정신차리고 다시보니 실수했네 ㅎㅎ 아무튼 코테는 재밌다 ㅎ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 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[5, 2, 6, 3]입니다.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[2, 3, 5, 6]입니다.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. 배열 array, [i, j, 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..

728x90
반응형